심심할 때 각자 알파벳을 보자마자 떠오르는 것을 말해보아요~~
대소문자 혼용.
A : 전류의 단위 (Ampere, 암페어)
B : bottom 쿼크 (바닥 쿼크, b 쿼크의 짝꿍은 질량이 가장 큰 top quark, 탑 쿼크)
C : 전하량의 단위 (Coulomb, 쿨롱, 1C 는 6.28 x 10^18 개의 전자가 띄는 전하량)
D : down 쿼크 (아래 쿼크, 양성자나 중성자를 구성하는 up 쿼크, 위 쿼크의 짝꿍)
E : 전기장 (Electric Field)
F : 힘 (F = ma)
G : 중력 상수 (만유인력 상수라고도 함, 6.673 × 10−11 J*m/kg^2)
H : 플랑크 상수 (h = 6.626 x 10^-34 J*s, 물리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상수.
2pi 로 나눈 ℏ 가 더 작긴 하다. 위치 변화량과 운동량 변화량의 곱은 ℏ/2 보다 크거나 같다.)
I : 전류를 나타낼 때 씀 (Intensity of current)
J : 일 (Work) 의 단위인 줄 (Joule, J = kg * m^2 / s^2)
K : 절대 온도의 단위인 켈빈 (Kelvin, 0 K = 섭씨 -273.15 도)
L : 라그랑지안 (Lagrangian, 운동 에너지에서 퍼텐셜 에너지를 뺀 값으로 정의, 운동방정식인 오일러-라그랑쥬 방정식를 구할 수 있다.)
M : 질량 (mass, 보통은 소문자를 선호)
N : 뉴턴 (Newton, 힘의 단위. 뉴턴 선생님의 미분 개념이 위치, 속도, 가속도 관계에 녹아있다.)
O : 무시 가능한 고차항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여기서 차수는 수학영재 침착맨이 궁금해했던 그 차수이다. O^(5) 는 5차항 이상을 퉁쳐서 쓴다.)
P : 운동량 (p = mv)
Q : 전하량을 나타낼 때 씀 (Electric charge, 단위는 C, 쿨롱)
R : 전기 저항 (electric Resistance)
S : 작용 (action) 을 나타내는 기호 (S, 최소 “작용” 의 원리가 적용되어 빛이 굴절하고, 돌을 던지면 항상 포물선으로 날아간다.)
T : 자기장의 단위인 테슬라 (Tesla)
U : 열역학에서 내부에너지를 나타낼 때 씀 (단원자분자의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2nRT/3, n: 몰 수, R: 기체상수, T: 절대온도)
V : 전압이자 전압의 단위 (Voltage)
W : 일을 나타낼 때 씀. (Work, W = F (힘) x s (이동 거리))
X : X 선, x-ray
Y : y-축? 이건 생각이 안나네유
Z : 임피던스를 나타낼 때 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로 저항, 축전기, 코일 등을 포함하는 물리량.
오랫만에 하니까 생각이 잘 안나네요 ㅎㅎ
하면서 정의 찾아보니 공부도 되고 부족한 부분도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