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내장만큼 빠른 외장SSD 만들기
영상, 사진, 일러작업을 하다보면 내장용량이 부족해지는 순간이 주기적으로 옵니다.
외장 HDD에 작업파일 올려놓고 하자니 너무 느리고, 매번 내장에서 작업하다 외장하드에 옮기는 건 번거롭구요.
윈도우 데스크탑, 랩탑이었다면 SSD를 교체하면 되지만 애플의 m1이후 제품들(애플 실리콘)은 개인의 자가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


(RAM, SSD가 보드에 납땜되어 있어 디솔더링-교체-솔더링을 거치면 "가능하긴" 합니다)

외장SSD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많이 사용되는 USB3~의 외장 SSD는
맥의 내장속도 (읽/쓰기 2500MB/s~)에 못미치는 1000~1500MB/s 정도라, 내장에 올려놓고 할때를 생각하면 답답합니다.

읽/쓰기 2000MB/s대의 외장 SSD도 있으나, 대부분 제품이 20Gbps의 대역폭이라 맥에선 10Gbps로 인식, 속도가 1000~1500MB/s로 줄어버립니다.

썬더볼트3,4나 USB4를 지원해야 하는데, 조건을 만족하면 가격이 너무 비싸지구요.
40Gbps 대역폭을 지원하는 SSD 인클로저(SSD 케이스) - 썬더볼트4(=USB4)
읽/ 쓰기 2500~3000MB/s대의 m.2 nvme SSD
외장 케이스와 SSD를 따로 구매해 조립한다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빠른 속도의 외장SSD를 만들 수 있습니다.
1. SSD 인클로저 선택 - 40Gbps 썬더볼트3,4 확인
제일 먼저 대역폭이 40Gbps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로, 발열이 꽤 되기 때문에 팬이 달린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세번째로, 메인칩셋이 JHL(인텔)이냐 ASM이냐 선택해야합니다.
JHL 칩셋이 사용된 제품은 가격이 조금 더 비싸나 사용자가 많아 안정성이 입증되었고, ASM칩셋은 가격은 저렴한데 SSD속도를 조금 더 뽑아줍니다. (JHL보다 10~20% 이상)


제품을 추리면 ACASIS, Hagibis, JEYI, OWC, Orico 등등이 있습니다.
JHL 칩셋은 ACASIS, ASM 칩셋은 Hagibis와 MAIWO를 추천드립니다.
구매는 아마존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하실 수 있으나 알리익스프레스가 더 저렴합니다.
2. SSD 선택
m.2 nvme SSD를 구매하셔야 인클로저에 장착이 가능합니다.
제품은 굉장히 많은데 PCIe 4.0 SSD는 썬더볼트 대역폭을 넘어버리니 제외하고,
발열이 높지 않으면서 속도가 빠른 제품을 추리면 하이닉스의 P31 골드 가 남습니다.
쇼핑몰보다 중고나라 등에서 미개봉을 구매하시는게 더 저렴하고, 미개봉 시세는 1TB 10만, 2TB 20만원 선입니다.
현재 국내 쇼핑몰 시세는 1TB 14만, 2TB 25만원이며 최저가는 2TB 직구 92$ (배송비포함 당시 환율로 13만) 이었습니다.
3. 조립

어렵지 않습니다. 인클로저 열고 SSD 끼워넣으면 끝입니다.
맥에 연결해서 APFS로 포맷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4. 속도는?

m3pro 내장

m2pro 내장

ACASIS 405(팬없는 모델) + P31 1TB (APFS포맷) 속도입니다.
6~8시간 상시연결로 작업해도 속도저하는 없으나 팬없는 모델이라 인클로저가 뜨끈뜨끈합니다.
어느정도의 뜨끈뜨끈이냐면 갓구운 토스트 두배 이상입니다,, 꼭 팬있는 모델로 구매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