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좌표계 고정을 보고
23.01.07
·
조회 406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해소해 주실 분이 계실까요
단순하게 주행중인 물체에서 투사체를 발사했을때 방향에 따라 속도가 증감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자전하는 지구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물체를 발사했을때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사했다면 속력의 차이가 발생할까요?
관측위치가 지구라면 차이가 없을지 모르겠으나 더 멀리 지구 밖에서의 관점에서 관찰했을때 차이가 발생할지 궁금합니다.
작성중에 한가지 더 생각났는데
파일럿들이 훈련하는 중력가속도 훈련이나 놀이기구 처럼 원심력이 발생하면 압력이 상당한데 자전축이 되는 극지방 위치와 적도 부분에서도 차이가 발생하는지
이러한 것들을 엄밀히 따지자면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우주의 큰 단위 아래 사실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건지 느낄 수 있는건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3.01.07
그래서 많은 로켓발사장이 적도에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자전에 의한 속도 이득을 보기 위함이죠
평범한물리애호가
23.01.07
자세한 것은 비관성계를 공부하시면 됩니다 :)
늦게르더라스트맨
23.01.07
달라는 차에서 앞으로 공쏘는 거랑 뒤로쏘는거 속도차이나듯이 난다~ 이런거 배웠던거같아요 (이과아님)
뽁뽁이아저씨
23.01.08
예 꽤 차이가 큽니다. 자전방향으로 쏘는것기 반대방향으로 쏘는것도 차이가 많이 있구요. 극지방의 중력과 적도지방의 중력도 차이가 있습니다. 심지어 지구가 약간 납작한 모양이어서 중력차이가 더 납니다. 나로호를 가능한 남쪽에 위치한 외나로도에서 발사한 이유도 자전의 원심력의 도움을 받기 위함입니다.
뽁뽁이아저씨
23.01.08
비슷한 이야기로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실험에서도 지구 자전과 공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지구의 공전과 자전방향을 생각해보면 밤에는 지구 자전과 공전방향이 일치하고 낮에는 반대이기 때문에 관측기가 우주공간을 훓고 지나가는 공간의 부피에 차이가 생기는데요. 만약 우주공간에 암흑물질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거의 균일하게 퍼져있다는 가정하에 넓은 면적을 훓고 지나가는 밤이 낮보다 검출이 많이 될것이라고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암흑물질이 있는지 없는지 조사하는 실험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테이저건
1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님 목격 썰
4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무한궤도
1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이번 팝업에서
1